초록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역량과 자기 관리 역량을 강조하는 현행 영어과 교육과정에 맞춰서 기존 영어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영어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는 것이다. 영상 콘텐츠 제작을 통한 영어 수업을 설계하였고, 이 수업이 학습자의 흥미, 참여도, 태도 및 영어 학습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내용으로는 우선 기존 일반적인 영어 교육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고찰해 보았고, 영상 콘텐츠 제작을 통한 영어 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와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알아보았고, 기존 영어 교육의 문제점과 영상 콘텐츠 영어 수업을 보완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영상기반 영어 콘텐츠 제작 수업지도안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Willis (1996)의 과업 기반 언어 교수 모형을 참고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10개의 프로젝트 중 하나의 프로젝트를 선정해 4차시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각 차시는 과업 전, 과업, 과업 후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편집 기술은 주로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오프라인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수업 과정에서 교수자, 학습자와 전문가로부터 수업일지, 학습자 일지, 강의 참관일지 및 인터뷰를 기록하여 학습자의 흥미, 참여도, 태도 및 영어 학습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이 생각한 콘텐츠를 만든다는 생각에 스스로 단어도 찾아보고 수업에 흥미를 느끼며 상호 작용을 하며 적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일상생활 언어로 실제 말하기에 사용한다는 점에서 실용성이 높다고 생각하였으며, 번역기가 콘텐츠 제작을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학습효과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암기하는 것과 다르게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드는 과정에서 영상 제작을 하며 연습했던 발화내용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아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은 첫째, 의사소통 역량과 자기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설계했다는 점이다. 학생 간의 의사소통 기회를 늘리고, 흥미, 태도, 참여도를 향상하도록 노력했다. 둘째, 기존 연구는 학생들 간의 영어 능력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업 설계의 취약점 있었다. 본 수업 설계는 학생들 간의 영어 능력 차이로 발생하는 콘텐츠 제작 문제를 번역기를 활용하여 대처하였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셋째, 기존 영상기반 콘텐츠 교육은 보통 영상 촬영 및 편집을 수업 시간에 다루기 힘들기에 그 부분에 대한 학습을 학생에게 알아서 하도록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학습 내용에 집중하도록 영상 촬영과 편집 기술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단기간의 실험 수업을 시행하였기에 장기간에 걸친 수업 적용 및 결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기에 일반화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전문가 그룹이 소수로 이뤄졌기 때문에 전문가 그룹의 일반적인 견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여러 번에 걸친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사교육 및 공교육의 더욱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nou/200000669515
* RISS 원문보기
http://www.riss.kr/link?id=T16668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