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686969

[2023] 플립러닝을 활용한 직업능력개발 교수설계 / 이진영

작성자
대학원_에듀테크학과
조회수
673
등록일
2024.01.19
수정일
2024.01.19

초록

COVID-19로 인한 실업률 상승으로 인해 실업자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기업들은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직업능력을 요구하고 있어, 이에 따라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교육 형태와 방법이 변화하고 있다.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현재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실제 업무와 차이가 있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직업능력개발 교수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교수설계에서는 직업능력 단위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참여와 피드백을 중심으로 플립러닝 교수설계를 적용하였다. 플립러닝의 2단계 수업 중(in-class)에서 목적 및 목표 정의 단계(Define goals and objectives), 사전 지식 및 기술 평가 단계(Assess prior knowledge and skills), 동기 부여 및 참여 양성 단계(Nurture motivation and engagement), 학습 지도 및 촉진 단계(Instruct and facilitate learning), 학습 결과 평가 단계(Evaluate learning outcomes), 피드백과 성찰 활용(Leverage feedback and reflection) 단계로 학습자 중심의 DANIEL 교수설계를 적용하였다. 이는 각 단계의 영문 첫 단어를 조합하여 DANIEL 교수설계라 명명하였다. 플립러닝은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참여도를 높이며, 교수자는 수업 계획과 강의 방식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 있고,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플립러닝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와 적성에 맞춘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며, 자기주도학습, 개별학습, 협력학습 등 다양한 학습 참여가 가능하다. 제안된 교수설계에 따라 수업을 진행한 후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및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플립러닝을 활용하면 이론 중심의 주입식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개별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졌다.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을 적극적으로 수업의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었고, 연구를 진행한 결과 직업능력개발훈련에서 실시간 쌍방향 중심 수업과 비대면(untact) 수업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플립러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교수설계는 학습자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적극적인 학습 참여와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추구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취업 기회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nou/200000696969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