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profl,fnctNo=28 인물소개 리스트 김용 교수 (전임교수) E-Mail dragonknou@knou.ac.kr 담당 교과목 에듀테크융합교육, 교육개발국제협력컨설팅 등 연락처 02-3668-4732 담당 학과 에듀테크학과 상세보기 학력 1995. 02. 한국교원대학교 제1대학 초등교육과 졸업 (교육 학사) 1997. 02.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졸업 (교육학 석사) 2008. 08.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졸업 (이학 박사) 주요경력 1995. 09. 01 ~ 1997. 08. 31 한국교원대학교 전자계산소 조교 1997. 09. 01 ~ 1999. 04. 21 한국교육방송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연구원 1999. 04. 22 ~ 2010. 8. 3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책임연구원 2009. 09. 01 ~ 2010. 06. 06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대학교 객원연구원 2010. 06. 07 ~ 2010. 08. 12 일본 동양(東洋)대학교 객원연구원 2008. 03. 21 ~ 2010. 09 ISO/IEC JTC1 SC36 WG3 Project co-editor 2015. 01. 04 ~ 2015. 02. 14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대학교 객원교수 2011. 07. 22 ~ 2018.12.31 산업표준심의회 교육정보(ISO/IEC JTC1 SC36) 전문위원회 위원 2010. 09. 01 ~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이러닝학과 교수 2010. 09. 01 ~ 현재 이러닝학회 이사 2012. 08. 24 ~ 현재 한국과학창의재단 원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 2014. 05. ~ 현재 한국저작권위원회 원격교육콘텐츠개발 자문위원 2015. 01. 02 ~ 현재 정보처리학회 이사 2015. 01. 02 ~ 현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이사 2020. 03. 1 ~ 현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이사 연구실적 증거기반 에듀테크 평가 인증 체계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3 초·중등 인공지능(AI) 교육 디지털 콘텐츠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23 필리핀 원격교육을 위한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한국국제협력단, 2022 라오스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 대상 교수역량 강화, 한국국제협력단, 2022 첨단 ICT 활용 시범교실 구축·운영 지원사업‘22년 협력국 대상 실시협의 연구, APEC국제교육협력원, 2022 충청북도 AI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2022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체제 개선방안 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 세르비아 IT 역량강화(2019-2021) 3차년도 연수, 한국국제협력단, 2021 4차산업 관점 미래교육 방향 진단 연구, 4차산업혁명위원회, 2021 AI 융합교육중심고등학교 효과성지표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교원 융합교육 역량 모델 개발 및 모듈형 연수 체계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간호조무사 보수교육 비대면 방식 필요도 조사 및 효율화 방안 연구, 대한간호조무사협회, 2021 첨단ICT활용 시범교실 구축운영지원사업 성과평가 연구 (미얀마), APEC국제교육협력원, 2020 코로나 이후 비형식 원격교육 분야 개발협력사업 시행방안 및 과제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0 2주기 아세안대학 이러닝 지원 사업 성과평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9 방송대 종합‧원격교육연수원 활성화 방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종합교육연수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9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UNESCO-UNITWIN 사업(네팔), 교육부, 2019 이집트 교육방송 콘텐츠 제작 역량강화 과정 2차년도연수, 한국국제협력단, 2019 세르비아 IT 역량강화 1차년도 연수, 한국국제협력단, 2019 방글라데시 ICT 교육훈련센터 건립사업 (2차) 컨텐츠 및 이러닝 부문 컨설팅, 디비아이엔씨, 2018 교육용콘텐츠 관리체계 및 가이드라인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대학원·경영대학원 운영과 제도 개선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 방송대 국제협력 장기발전 방안 수립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 이집트 교육방송 콘텐츠 제작 역량강화 과정 1차년도연수, 한국국제협력단, 2018 우즈베키스탄 교육정보화 2차 사업 컨설팅, 디비아이엔씨, 2017 참여형 온라인수업 플랫폼 구축 개념설계 용역,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2017 원격교육연수지원센터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4차 산업혁명기반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원격고등평생교육 미래 구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7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스마트러닝기반 KNOU 미래지식포털 설계 방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7 유통산업 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이러닝 콘텐츠 정보 공개 항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7 논문 Won Ho, Ho-Sung Woo, Dae-Hyun Lee, Yong Kim(2022),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Deep Fake e-Learning Contents Videos Using Open-Source Tools",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20-11 , pp. 121-129 Jin-Ho Lim, Seung-Cheon Kim, Yong Kim(2022). "A Study on Feature of Online Platform with Exploiting Blockchain for International Onshor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12 No. 1, pp. 92-100 Won Ho, Nguyen-Khang Pham, Dae-Hyun Lee, Yong Kim(2021). "Proposition for LMS Integration for Share, Exchange, and Spread of Online Lectures under Covid-19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n Informatics Visualization, 5(4), pp. 475-480 Won Ho, Dae-Hyun Lee, Yong Kim(2021).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Online Class Model using Open-Source Technology and SNS", International Journal On Informatics Visualization, 5(3), pp. 218-223 김자미, 김용(2022). "인공지능 기술 딜레마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윤리 교육에 대한 소고". 창의정보문화연구 제8권 제2호 pp. 87-95 구양미, 정미강, 김용(2021). "초등교사의 직급 및 교직 경력에 따른 교원연수 선택 및 수강 관련 요인 분석", 미래융합교육, Journal of Future Convergence Education, Vol.2, No.1, pp. 1-25 HeeSeok Cho, Yong Kim(2021). "Doc2Vec based Question and Answer Search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11 No. 1, pp. 31-36 김자미. 김용(2020), "Method of Invigorating International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s from the Viewpoint of System Dynamics",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Vol. 8 No. 2, pp. 29-48 Dae Hyu Lee, Sae Hong Cho, Yong Kim(2018), "A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Learning Contents Management based on the Personalized Onlin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4, pp.1321-1326 Hye Jin Kim, Yong Kim(2018), "Design of e-Teaching Portfolio System Framework for e-Tutor Competency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1, pp. 192-198 Yong Kim(2018), "The Framework of Cloud e-Learning System for Strengthening ICT Competence of Teachers in Nicaragua",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1, pp. 62-67 Dae Hyu Lee, Yong Kim, Yen Yoo You(2018), "Learning Window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Moodle-base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Research & Development, Vol. 9 No. 8, pp.626-632 Yasung Park, Yong Kim(2018), "A Design and Development of micro-Learning Content in e-Learning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8 No. 1, pp. 56-61 Dae Hyun Lee, Yen-Woo You, Yong Kim(2017), "An Analysis of Online Learning Tools Based on Participatory Interaction: Focused on an Analysis of the Minerva School Case", Advances in Computer Science and Ubiquitous Computing, Lecture Notes in Electrical Engineering Volume 474, pp 1199-1206 백송이, 구양미, 김용(2018), "교원연수 이러닝 콘텐츠 품질관리에 대한 원격교육연수원의 인식 분석", 이러닝학회논문지, 제3권 제1호, pp.21-30 서명숙, 김용(2018),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복습의 효과", 이러닝학회논문지, 제3권 제1호, pp.10-19 김용(2018), "이러닝 교수 설계자 인적 자원 유통을 위한 휴먼 클라우드 플랫폼 프레임워크 설계",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6-7, pp. 67-75 전병호, 김용(2017), "블렌디드 러닝에서 교수자 요인이 학습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러닝학회논문지, 제2권 제1호, pp.35-40 우호성 교수 (전임교수) E-Mail hughwoo@mail.knou.ac.kr 담당 교과목 컴퓨팅과컴퓨팅사고력, 에듀테크게이미피케이션 등 연락처 02-3668-4731 담당 학과 에듀테크학과 상세보기 학력 2012. 02. 가천대학교 컴퓨터미디어학과 (공학사) 2014. 02. 아주대학교 지식정보공학과 모바일보안 (공학석사) 2020. 08.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컴퓨터교육 (공학박사) 주요경력 2014. 03. ~ 2016. 02. ㈜핀그램 선임연구원 2018. 09. ~ 2019. 02. 고려대학교 프로그래밍 강사 2020. 09. ~ 2021. 02.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연구실적 2022. 03. ~ 2025. 03(진행중). 모션 벡터를 활용한 오버레이 타겟 설계 및 측정 알고리즘 개발 2022. 12. ~ 2023. 02. 증거기반 에듀테크 평가 인증 체계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2. 03. ~ 2021. 12. 라오스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 대상 교수역량 강화 2022. 03. ~ 2021. 12. 필리핀 원격교육을 위한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2021. 07. ~ 2021. 12.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체제 개선방안 연구 2021. 10. ~ 2021. 12. 초중등SW AI 교육 기회형평성제고 방안 2021. 08. ~ 2021. 12. 미래형 융합교육 선도 학교 모델 기획 연구 2020. 12. ~ 2021. 03. 교원의 융합교육 역량 모델 개발 및 모듈형 연수 체계 개발 연구 2020. 10. ~ 2020. 10. 예비교원 소프트웨어 교육 필수 역량 강화 효과성 분석 연구 2020. 10. ~ 2021. 02. 간호조무사 비대면 방식 요구도 분석 및 효율화 방안 연구 2020. 06. ~ 2021. 02. 지식체계 설계를 위한 시맨틱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2019. 10. ~ 2020. 01. 2019년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지원 사업 효과성 연구 2019. 09. ~ 2020. 08. 전문용어 가중치 기반 비음수 행렬 인수분해를 통한 AI 분야 단문 텍스트 토픽 모델링 기법 개발 2019. 05. ~ 2019. 12. 교원과 학생의 SW교육 역량 기준 및 교육과정 개발 연구 2019. 06. ~ 2020. 05. 기계 학습을 위한 최대 엔트로피 모델 및 형태소 규칙을 이용한 복수 어절 전처리기 개발 2018. 06. ~ 2019. 02. 학교·학생 맞춤형 SW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인정 도서 개발 2018. 06. ~ 2018. 11. 초등교육 연계 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중등교원양성기관 대상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2018. 06. ~ 2018. 09. 교육용 콘텐츠 관리체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2018. 05. ~ 2018. 08. 개별 맞춤화 교육 기반의 온라인 평가 체제 2018. 01. ~ 2018. 02.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UP) 표준교육과정(컴퓨터과학) 개정 2017. 06. ~ 2017. 12. 초·중등 SW교육 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2017. 04. ~ 2017. 12. 2017년 SW교육 연구학교 현황 및 효과성 분석 연구 논문 Y. Jang, H. Woo, and H. Kim, “Evaluation of Korea’s National-Level SWᐧAI Education Camp Program for K-12 Students”, Int. J. Adv. Sci. Eng. Inf. Technol., vol. 15, no. 3, pp. 701–707, Jun. 2025. 조아라 and 우호성. (2025). 온라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 활용을 위한 수업 지원 방안.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9(3), 696-706. JE, S. & WOO, H. (2025). Integrated Educational Strategies for Enhancing Basic and Digital Literacy in Elementary Students. Fourth Industrial Review, 5(1), 1-8, https://doi.org/10.13106/fir.2025.5.1.1 WOO, H. YOON, I., & JANG, Y. (2025).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Software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s’ Perceived Necessity for Software Lee, H., Chang, H., Woo, H., & Lee, W. (2024). Overlay Measurement Algorithm for Moirè Targets Using Frequency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Kim, M. Y., Kim, J. M., Lee, D. H., Woo, H. S., & Kim, Y. (2024). Evaluation Criteria for Develop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EdTech Tools.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 Information Technology, 14(4). Jang, S.; Cho, Y.; Seong, H.; Kim, T.; Woo, H. The Development of a Named Entity Recognizer for Detect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Korean Pretrained Language Model. Appl. Sci. 2024, 14, 5682. https://doi.org/10.3390/app14135682 Lee, H. C., Chang, H. J., & Woo, H. S. (2024). Overlay Mark Design Using Irregular Grating Patterns.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 Information Technology, 14(2). 신여울 and 우호성. (2024). XGBoost를 활용한 대학생 학업중단 예측 요인 탐색 : 경기도 H 대학교를 중심으로.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8(5), 1304-1318. M. Y. Kim, J. M. Kim, D. H. Lee, H. S. Woo, and Y. Kim, “Evaluation Criteria for Develop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EdTech Tools ”, Int. J. Adv. Sci. Eng. Inf. Technol., vol. 14, no. 4, pp. 1199–1208, Aug. 2024. koo, b. j. & woohosung, (2024). Using Gamification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 (Ethical Perspective) for Youth. Journal of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5(1), 19-27, https://doi.org/10.15722/jrpe.5.1.202403.19 Jinwoo, K. I. M., & Hosung, W. O. O. (202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daptive Learning System through EEG-based Learning Achievement Prediction. Korea Fourth Industrial Association, 3(1), 13-20. Jang, Y., Yoon, I., & Woo, H. (2023). Development of AI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General Public.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 Information Technology, 13(5). JinHee KIM, HoSung WOO (2023),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dute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 Fourth Industrial Association, 3(2), 11-17 김현서, 우호성. (2023).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한국사 수업 설계.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7(8), 1297-1305 HoSung WOO;Yong KIM(2023). Exploring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Metaverse Ethical Guidelines. Journal of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4(2), 1-5 L. H. Chul and W. H. Sung, "Motion Vector Based Overlay Metrology Algorithm for Wafer Alignment,"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vol. 12, no. 3, pp. 141-148, 2023. DOI: https://doi.org/10.3745/KTSDE.2023.12.3.141. Woo, HoSung, and Ja-Mee Kim.(2022). Impacts of Learning Orientation on the Modeling of Programming Using Feature Selection and XGBOOST: A Gender-Focused Analysis, Applied Sciences 12, no. 10: 4922. https://doi.org/10.3390/app12104922 KiTae KIM, HoSung WOO (2022), A Study on the Operation of Education Using Library Using Flip Learning Techniques: Focusing on ubiquitous E-learning that reflects gaming elements. Korea Fourth Industrial Association, 2(2), 1-9 JiWon KIM, HoSung WOO (2022), Propos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Curriculum for Upskilling of Financial Manpower: Focusing on Private Bankers and Robo-Advisors1. Korea Fourth Industrial Association, 2(1), 19-32 Won HO(Won HO);Ho-Sung WOO(Ho-Sung WOO);Dae-Hyun LEE(Dae-Hyun LEE);Yong KIM(Yong KIM). (2022).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Deep Fake e-Learning Contents Videos Using Open-Source Tools. KODISA(JDS), 20(11), 121-129. 10.15722/jds.20.11.202211.129 Jaehong Kim, Hosung Woo, Jamee Kim, Wongyu Lee (2021). Relationship between Korean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Learning Element Considering Compound Word. INTERNATIONAL JOURNAL ON INFORMATICS VISUALIZATION, 5(4), 430-437. HoSung Woo, JaeHong Kim, JaMee Kim, WonGyu Lee (2020). Exploring the AI Topic Composition of K-12 Using NMF-based Topic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10(4), 1471~1476. Hosung Woo, JaMee Kim, WonGyu Lee (2020). Analysis of Cross-Referenc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pics Based on Sentence Modeling. APPLIED SCIENCES (SWITZERLAND), 10(11), 1-19. HoSung Woo, JaMee Kim, WonGyu Lee (2020). Validation of Text Data Preprocessing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MATHEMATICAL PROBLEMS IN ENGINEERING, 2020(-). HoSung Woo, JaMee Kim, WonGyu Lee (2020). Development of curriculum design support system based on word embedding and terminology extraction. ELECTRONICS (SWITZERLAND), 9(4), 1-14. 김자미, 우호성, 이원규.(2020).SW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중등교원 양성기관의 SW교육 방안.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23(6),1-13. 우호성, 이현정, 김자미, 이원규 (2020). SW중심대학의 인공지능 교육과정 현황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3(2), 13-20. 김자미 , 우호성 , 양혜지 , 김민정 , 김성희 , 이소율 , 김보선 , 김영애 , 곽지혜 , 최현종 , 정인기 , 이영준 , 이원규 (2020). 2022년 개정을 위한 정보과 표준 교육과정 제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1), 1-28. 안영희, 김자미, 우호성, 양혜지, 김민정, 정다윤, 이원규 (2019). 초등 예비교원을 위한 교양수준의 정보교육과정(안)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1), 21-30.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과 핵심역량에 관한 검사도구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2), 49-58.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7). CS2013에 근거한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6(8), 411-418.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7).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 17-38. 특허 2022.02 다중 특징선택과 Xgboost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모델링에 대한 학습 성향 분석 방법, 특허출원 2020.8.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상의 전문용어 추출방법, 특허등록 저서 딥러닝, 2023년,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이병래, 우호성, 유찬우 앱과 코딩(학생용/지도서), 2021년, 씨마스, 김자미, 우호성, 김경규, 황은아, 노경보, 우호성 손진곤 교수 E-Mail jgshon@knou.ac.kr 담당 교과목 에듀테크특론, 첨단이러닝기술특론 연락처 02-3668-4656 담당 학과 컴퓨터과학과(에듀테크학과 겸임) 상세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학력 1979. 2. 서울 우신고등학교 졸업 1980. 3.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수학과 입학 1984. 2.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수학과 졸업 (이학사) 1986. 3.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전산학전공) 입학 1988. 2. 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이학석사) 1988. 3. 동 대학원 박사과정 (전산학전공) 입학 1991. 2. 동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이학박사) 경력연구경력국내 전문 학술지국제 학술 전문지국내 학술 회의 논문집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대학 학술지Presentation저서연구보고서e-Learning Field